영분공의 16세손이신 휘는 충한(漢), 호는 수은(樹隱)선생을 파조로 모신 종중으로 파조의 고조부되시는 휘는 인경(仁鏡) 호는 명암(明庵) 정숙공(貞肅公)을 같이 모시고 있다.

그 유래는 정숙공의 유시문(遺詩文)이 이 종중에 전하여져 왔고 사우(祠宇)에 먼저 봉안하였으나 오늘날까지 매년 세일제(歲一祭)를 올리고 있다.

경주김씨 영분공의 후계는 정숙공의 子 헌공(軒公)까지는 방계의 분파기록이 전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정숙공의 세계(世系)상 유일한 직계인 것이다. 따라서 정숙공을 모신 종중은 바로 영분공을 대표한 종중이라 할 수 있다.

 

 

영분공의 12세손 휘 김인경(金仁鏡)이다. 문무리(文/武/吏)의 각 분야에 자질을 고루 갖추신 분으로 고려 고종때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이르셨고 시(詩)에 능하셨으며 예서(隸書)에 뛰어나셨다.

 

명암선조단소

소재지 : 남원군 송동면 두신리 산23번지 두곡 백룡등

 

 

휘는 충한(漢), 호는 수은(樹隱)으로 어릴 때부터 체격이 장대하고 성격이 위엄하고 기상이 의연하였다. 봉익대부 예의판서(奉翊大夫 禮儀判書)에 이르렀고, 일찍이 정포은, 이목은, 이도은, 길야은, 민농은 선생들과 더불어 6은(六隱)으로 불리시 었다.

 

고려의 국운이 다하자 관(冠)을 걸어두고 폐랭이로 바꿔쓰고 "원컨데 백이를 따라 서산에서 고사리를 캐리라"하며 송경(개성) 만수산에 들어가셨다. 이태조가 여러차례 출사를 청하였으나 충신은 불사이군(不事二君)이라 응하지 않았다. 그후 남원 두동방에 오시어 두곡(杜谷) 이란 마을을 지으셨다.

 

선생께서는 이태조 4년(1395년) [경주김씨세계서(慶州金氏世系序)]를 지으시어 경주김씨의 기원과 신라왕조의 약사와 특히 영분공부터 선생의 대에 이르는 계대를 소상히 밝혀 주시었다. 이 세계서는 우리나라 보학 발전의 귀중한 사료이다.

수은선조단소

소재지 : 남원군 송동면 두신리 산23번지 두곡 백룡등

 

院祠名

奉安한 分

所在地

奉享日

표절사

경기도 개성

 

두문사서원

경기도 개성

 

두곡서원

仁鏡,

전북 남원시 송동면 두곡리

 

하산사

仁鏡,

경남 거창군 남상면 월평리

2월中丁,8월中丁

학산사

전남 순천시 황전면

2월20일,8월20일

이호사

仁鏡

전북 남원시 주생면 중동리

 

금남사

경남 하동군 청암면 신기리

2월中丁,8월中丁

덕봉사

경남 거창군 주상면 연교리

8월中丁

서산서원

경북 포항시 남구 장기면

9월中丁

삼현사

경남 진주